수상저서 :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

불교평론 뇌허불교학술상 2022년도 수상자 발표

《불교평론》이 제정한 ‘불교평론 뇌허불교학술상’ 2022년도 수상자를 아래와 같이 발표합니다.

- 수상자 : 유근자(동국대학교 초빙교수)
- 수상저서 :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

 

• 심사위원 : 위원장 | 이혜숙

    위원 | 김성순 김응철 명법 박병기 서재영
               이병욱 장성우 허우성 홍사성

 

시상식
• 일시 : 2022년 12월 22일(목) 오후 6시
• 장소 : 불교평론 세미나실(서울 강남구 신사동 소재)
• 상금 : 500만 원

 

불교평론

 

▣ 수상자 프로필 - 유근자(동국대학교 초빙교수)

약력

덕성여자대학교 사학과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 · 박사과정 졸업.
대한불교조계종 선우도량 부설 한국불교근현대사연구회 연구원(1994~2002).
한국미술사연구소 연구원(2002~2013).
일본 류코쿠대학(龍谷大學) 수탁(受託) 연구원(2002~2003).
강원도 · 경기도 문화재전문위원(2016~현재).
현재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불교미술 전공 초빙교수

 

▣  주요 저서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연구》 불광출판사, 2017.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 불광출판사, 2022.
《부처님이 들려주는 효 이야기》 조계종출판사, 2000(공저).
《불교문화》 조계종출판사, 2005(공저).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 한언, 2009(공저).

 

▣ 심사평
 
수상저서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
왕실과 불교가 만나는 맥락 탐구한 역저

종래의 ‘불교평론 학술상’이 ‘불교평론 뇌허불교학술상’으로 명칭이 변경된 것은 지난해였고, 이제 그 두 번째 수상작을 선정하였다. ‘1년 이내의 출판물’이라는 조건으로 심사 대상이었던 책들을 여기서 일일이 소개할 수는 없지만, 모두 연구자들의 역작이었을 것이다. 그 노고들을 짐작하면서도, 그중에 단 한 권의 수상작을 선정하는 일은 번번이 심사위원들에게 매우 곤혹스러운 과업이다. 비록 우리가 올해 선정할 수는 없었더라도, 계속해서 해당 연구자들의 업적을 지켜보며 마음으로부터 큰 성원을 보내고자 한다.

올해 수상작은 유근자 박사의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불광학술총서, 2022)이다. 저자는 덕성여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한국미술사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동국대 미술학부 불교미술 전공 강의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며, 강원도와 경기도의 ‘문화재 전문위원’을 겸하고 있다. 특히 불상(佛像)들의 복장(腹藏) 발굴에 직접 참여한 ‘현장 연구’의 실력이 이번 저서에 고스란히 담겨 있고, 총 1,000쪽에 달하는 방대한 지면에는 각종 문화재의 사진 자료가 풍부하기 때문에, 읽으면서 보는 책이라고 말해도 좋을 것 같다.

조선시대는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을 표방하여 불교가 억압받은 시대라고 말하지만, 알고 보면 여러 측면에서 “불교가 사람들의 삶과 밀접하게 소통하는 시기”였음을 저자는 강조한다. 특히, 아들을 낳고자 하는 기원을 비롯해서 질병 치유 · 영가천도(靈駕薦度) · 전몰장병(戰歿將兵)을 위한 기원 등이 불교를 통해서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그 불사에 참여한 시주자의 다양성, 왕실의 불상 조성에 영향을 미친 당대 고승(高僧)들에 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책의 1부는 조선시대를 세 개의 시기로 나누고 그 시기별로 불상 조성의 특징을 개괄하되, 전기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왕실은 끊임없이 사찰 중수와 각종 불사에 참여”했음을 설명한다. 당대 왕실이란 국가권력의 상징이므로, 요즘 말로 하자면, 최고 권력과 사찰과 불교가 만나는 맥락의 세부 사항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책의 2부에서는 개별사찰을 중심으로 왕실이 조성한 불상의 조형적 · 신앙적 특징을 해설하고, 그 복장 유물과 함께 조성 경위 등을 밝힌다. 그 가운데 ‘시주질(施主帙)’과 ‘발원문’ 등이 해당 불상을 조성하는 주체와 조성의 목적을 밝히는 자료로서, 당대 권력이 불사에 참여하는 과정을 자세히 읽을 수 있다.

소위 억불(抑佛)을 해야 한다던 조선시대 절대 권력층이 ‘어떻게 · 무엇 때문에’ 공공연히 계속해서 불상을 조성했던 것인가. 이 책 1, 2부에 걸친 사료(史料)의 자세한 인용과 분석이 우선 학문적인 면에서 돋보인다. 이뿐 아니라, 조성 발원문의 인용들을 보면, 학술적 글쓰기와 달리 신앙적인 측면에서도 독자 대중에게 새삼스러운 감동을 안겨주는 기술(記述)이 아닌가 싶다. 저자 유근자 박사가 학문하는 세계에서의 더 큰 발전을 기대하며, 거듭 축하하는 마음을 전한다. ■

 

2022년 10월
불교평론 뇌허불교학술상 심사위원회

 

▣ 수상소감

유근자 2022년 수상자, 동국대학교 초빙교수
복장기록은 당대의 불교인식 밝혀줄 단서

먼저, 지면으로 필자에게 학술상을 주신 불교평론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저는 불교미술 분야 중 주로 불상을 주제로 오랫동안 연구해오고 있습니다. 석사과정에서 ‘통일신라 약사불상의 연구’를 시작으로 박사과정에서는 ‘간다라 불전도상(佛傳圖像)의 연구’로 범위를 확장해 왔으며, 이후에는 ‘조선시대의 불상’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불상의 복장기록(腹藏記錄)에 대한 연구는 제가 오래전부터 깊은 관심을 갖고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주제입니다.

불상의 복장기록은 불상을 이해하는 데 단서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누가 불상을 조성하고자 했으며, 그 목적은 무엇인지, 언제 만들었으며, 어디에다 불상을 모셨는지 등의 많은 정보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록에 대한 분석은 저의 연구 의욕에 커다란 자극제 역할을 합니다.

이번에 학술상을 수상하게 된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2022, 불광출판사)는 한국연구재단의 ‘2018년 저술 출판지원사업’에 선정된 결과물입니다. 이 저서는 왕실에서 조성하거나 중수한 불상 가운데 기록이 있는 것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의 결실입니다.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는 제1부 총론과 제2부 개별 불상 연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복장기록이 있는 불상을 중심으로 조선 왕실의 불교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습니다.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복장기록에 의하면 조선시대 전 시기 동안 억불숭유 정책을 폈지만, 왕실에서는 지속적으로 불상 조성과 개금 및 중수를 통해 생로병사를 해결하려고 했습니다. 특히 세조, 광해군, 인조, 숙종, 영조, 정조, 순조, 고종 때 왕실 인물의 불상 조성 및 중수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큽니다.

이러한 사실들은 불상의 외형으로 시대적인 특징을 분석하는 양식사 위주의 연구로는 접근할 수 없는 내용입니다.

제2부에서 다룬 개별 불상은 대부분 제가 복장 조사에 직접 참여한 결과물입니다. 이 가운데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상이 상원사 ‘문수동자상’과 함께 1599년에 ‘노문수(老文殊)’로 중수된 사실,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상이 1634년에 선조의 아들 의창군과 부마 신익성, 인조의 아들 소현세자 부부가 동참한 것을 복장기록을 통해 확인한 것은 커다란 의미를 갖습니다. 특히 다음 왕위를 이을 소현세자가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을 조성하는 데 시주자로 직접 참여한 것은 주목할 만합니다.

연구를 꾸준히 진행할 수 있었던 데에는 지속적인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 지원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 목차

화보로 보는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 일러두기/ 발간사/ 머리말

1부.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의 시대 구분
    1장. 조선 전반기(1392-1608) 왕실 발원 불상 

        1. 머리말
        2. 보령 금강암 석조미륵보살상
        3.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4. 견성암 약사삼존상
        5.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불상
​​​​​​​        6.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상
​​​​​​​        7. 경주 왕룡사원 아미타불상
​​​​​​​        8. 합천 해인사 법보전과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상 중수
​​​​​​​        9.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불상군
​​​​​​​        10. 남양주 수종사 불상군
​​​​​​​        11. 맺음말

    2장. 조선 후반기 제1기(1609-1724) 왕실 발원 불상
​​​​​​​        1. 머리말
​​​​​​​        2. 서울 지장암 비로자나불상, 칠보사 석가불상, 선찰사 석가불상
​​​​​​​        3. 남양주 수종사 불상군
​​​​​​​        4.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상
​​​​​​​        5.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        6. 오대산 상원사 목조제석천상 중수
​​​​​​​        7. 서울 봉은사 석가여래삼불좌상
​​​​​​​        8. 순천 송광사 관음보살상과 석가불상
​​​​​​​        9. 구례 화엄사 각황전 불상
​​​​​​​        10. 서울 봉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        11.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불상
​​​​​​​        12. 맺음말

    3장. 조선 후반기 제2기(1725-1910) 왕실 발원 불상
​​​​​​​        1. 머리말
​​​​​​​        2.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상 중수
​​​​​​​        3. 남양주 불암사 목조석가불상 중수
​​​​​​​        4. 서울 사자암 목조아미타불상 중수
​​​​​​​        5. 서울 봉은사 목조사천왕상
​​​​​​​        6.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신불상 중수
​​​​​​​        7. 인제 백담사 목조아미타불상
​​​​​​​        8. 서울 옥수동 미타사 관음보살상
​​​​​​​        9. 화성 용주사 목조석가여래삼불상
​​​​​​​        10. 서울 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좌상 중수
​​​​​​​        11. 서울 흥천사 약사불상
​​​​​​​        12. 맺음말

2부.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의 복장 유물과 조성 · 중수발원문의 분석

      1장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의 분석
        1. 머리말
​​​​​​​        2.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현상 및 특징
​​​​​​​        3.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 유물
​​​​​​​        4.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중수발원문 분석
​​​​​​​        5. 맺음말

      2장.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
​​​​​​​        1. 머리말
​​​​​​​        2. 오대산 신앙과 불교 존상
​​​​​​​        3.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의 복장 유물 분석
​​​​​​​        4.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의 중수발원문 분석
​​​​​​​        5.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의 양식 특징과 편년
​​​​​​​        6. 맺음말

      3장.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조성기 〈施主秩〉 분석
​​​​​​​        1. 머리말
​​​​​​​        2.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施主秩〉 구성과 내용
​​​​​​​        3.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施主秩〉 분석
​​​​​​​        4.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제작 시기
​​​​​​​        5. 맺음말

      4장.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상의 조성과 벽암각성(碧巖覺性)
​​​​​​​        1. 머리말
​​​​​​​        2. 청량산 원암사의 화재와 완주 송광사의 중창
​​​​​​​        3. 〈송광사개창비〉(1636년)와 〈안심사사적비〉(1759년)로 본 17세기의 완주 송광사
​​​​​​​        4. 조선 왕실 인물과 완주 송광사의 17세기 불사
​​​​​​​        5. 17세기 완주 송광사의 불사와 벽암 각성의 역할
​​​​​​​        6. 맺음말

      5장. 봉원사 명부전 존상(1704년)의 복장 유물과 발원문 분석
​​​​​​​        1. 머리말
​​​​​​​        2. 봉원사 명부전 존상의 복장 유물
​​​​​​​        3. 봉원사 명부전 존상의 조성발원문 분석
​​​​​​​        4. 봉원사 명부전 존상의 이운(移運)
​​​​​​​        5. 맺음말

      6장.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 분석과 양식 특징
​​​​​​​        1. 머리말
​​​​​​​        2.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 현황
​​​​​​​        3.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기록 분석
​​​​​​​        4.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양식 특징과 편년
​​​​​​​        5. 맺음말

      7장.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 존상의 복장 기록 분석
        1. 머리말
        2. 오대산 상원사와 나한신앙
​​​​​​​        3. 상원사 영산전 존상의 복장 기록
​​​​​​​        4. 상원사 영산전 존상의 복장기록 분석
​​​​​​​        5. 맺음말

      8장. 흥천사 노전 석조약사여래좌상과 순원왕후
​​​​​​​        1. 머리말
​​​​​​​        2. 흥천사 노전 석조약사여래상의 복장 유물
​​​​​​​        3. 순원왕후 발원 흥천사 석조약사여래상의 도상
​​​​​​​        4. 맺음말

      9장. 화계사 불교미술의 성격과 시주자
​​​​​​​        1. 머리말
​​​​​​​        2. 화계사 불교미술과 왕실의 관계
​​​​​​​        3. 화계사 명부전의 불교미술
​​​​​​​        4. 화계사 불교공예의 성격
​​​​​​​        5. 화계사 대웅전 삼존불상의 존명
​​​​​​​        6. 화계사 불교회화의 조성과 이동
​​​​​​​        7. 맺음말

맺음말: 복장 기록으로 보는 조선 왕실 발원 불상 연구/ 참고문헌

 

▣  유근자 수상자 연구 실적, 논문, 저서

 

● 프로젝트 수행 실적

○남원 실상사 발굴(동국대 박물관 · 남원군, 1991.11.1~12.30)

○러시아 연해주 발해 사원지(코르사코프카, 우스리스크 지역) 발굴(대륙연구소, 1993.5.15~6.18)

○러시아 연해주 발해 사원지(크라스키노 지역) 발굴(대륙연구소, 1994. 7~ 8)

○영주 축서사 발굴(동국대 불교미술문화재연구소, 1995.12.1~12.15)

○파키스탄 간다라의 고대 문화교류에 대한 연구(한국연구재단 · 한국미술사연구소, 2002.7~2005.7)

○간다라 죠울리안 Ⅱ사원지 발굴(한국연구재단 · 한국미술사연구소, 2004.2)

○간다라 죠울리안 Ⅱ사원지 발굴(한국연구재단 · 한국미술사연구소, 2005.2)

○아시아문화 조사연구방법론 정립을 위한 시범조사(한국문화정책연구소, 2007.12~2008.7)

○2009년 보호학문강의지원 사업 선정 “붓다와 불교미술”-연구책임자(한국연구재단 · 동국대학교, 2009.9.1~2010.8.31)

○기록 문화재(造成記, 畵記, 銘文, 上樑文)의 조사와 자료집성을 통한 조선시대 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한국연구재단 · 한국미술사연구소, 2010.09~2013.08)

○2013년 저술성과 확산 지원 사업 선정 “명문(銘文)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불교조각의 연구”-연구책임자(한국연구재단 · 동국대학교, 2013.04.01~2015.04.30)

○2015년 제4차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자료의 현대화 연구”(장서각본 《(乾統本) 藥師瑠璃光如來本願功德經》 역주 및 스토리텔링 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 2015.11.01~2016.04.29)

○2018년 저술 출판 지원 사업 선정 “조선시대 왕실 발원의 불상 연구”-연구책임자(한국연구재단 · 동국대학교, 2018.5.01~2020.4.30)

○2018년 토대연구지원 사업 “조선시대 불교문헌 자료의 서지 DB 구축”(한국연구재단 ·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8.07.01~ 2021. 06.30)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보존상태 진단 및 기록화” 사업(문화재청 · 고창군, 2018.03.26~2019.01.19)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상 및 시왕상 일괄 보존상태 진단 및 기록화” 사업(문화재청 · 고창군, 2018.03.26~2019.01.19)

 

● 연구 논문

〈돈황 막고굴 158굴 열반도상의 연구〉 《강좌미술사》 42,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4.

〈황수영 박사 한국 불교조각 연구〉 《강좌미술사》 4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4.

〈신흥사 경판의 조성 배경과 사상〉 《강좌미술사》 45,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5.

〈토함산 석굴 금강역사의 도상 연구〉 《강좌미술사》 44,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5.

〈해남 대흥사 삼세불상의 복장 유물 연구〉 《남도문화연구》 33, 남도문화연구소, 2017.

〈흥천사의 조선후기 불교조각〉 《강좌미술사》 49, 한국미술사연구소, 2017.

〈영광 불갑사 명부전의 지장삼존상과 시왕상 연구〉 《남도문화연구》 34, 남도문화연구소, 2018.6.

〈양주 청련사의 아미타삼존상과 관음보살상 연구〉 《불교문예》 11, 불교문예연구소, 2018.8.

〈17세기의 완주 송광사 불사와 벽암 각성(碧巖覺性)〉 《남도문화연구》 36, 남도문화연구소, 2019.

〈양주 靑蓮寺의 豫修齋와 조선후기 명부전 도상〉 《동국사학》 66,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9.

〈흥천사 조선 후기(1829년) 석조약사불상의 연구〉 《보조사상》 58, 보조사상연구원, 2020.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 분석과 양식 특징〉 《불교문예연구》 17, 동방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6.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의 연구〉 《선문화연구》 30, 한국선리연구원, 2021.6.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 존상의 복장 기록 연구〉 《국학연구》 2021.7.

〈광양 백운산의 17세기 불상 복장기록 연구〉 《남도문화연구》 43,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8.

〈불교문화와 남북교류, 그 역사적 연결고리를 찾아서〉 《현대사회와 불교》 1, 대한불교조계종 백년대계본부 불교사회연구소, 2020.12.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의 분석〉 《동국사학》 72,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1.12.

〈봉원사 명부전 존상(1704년)의 복장 유물과 발원문 분석〉 《보조사상》 61, 보조사상연구원, 2021.12.

〈풍양조씨 분암(墳庵)으로서의 견성암의 불상〉 《한국불교학》 100, 한국불교학회, 2021.12.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조성기 〈施主秩〉 분석〉 《미술자료》 100, 국립중앙박물관, 2021.12.

 

● 저서

-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연구》 불광출판사, 2017.
-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 불광출판사, 2022.


● 공저서
《부처님이 들려주는 효 이야기》 조계종출판사, 2000.
《불교문화》 조계종출판사, 2005.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 한언, 2009.
《부처님의 생애》 조계종출판사, 2010.
《치유하는 붓다: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8.

 

▣ 뇌허불교학술상 역대 수상자
1983년 김영태  1985년 원의범  1986년 이영무  1988년 서윤길
1991년  강건기  1992년 정성본  1993년  윤호진  1994년 박선영
1995년 장충식  1999년 정병삼  2000년 김상현 2001년 전재성

✽2007~2011까지는 ‘불교평론 논문상’으로 시상함

● 2007년 김성철(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삼론가의 호칭과 승랑의 고유사상〉(《불교학연구》 17호)

● 2008년 남동신(덕성여대 사학과 교수)
     〈현장의 인도 구법과 현장상의 추이〉(《불교학연구》 20호)

● 2009년 안성두(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원측 《해심밀경소》 티벳역의 성격과 의의〉(《인도철학》 27호)

● 2010년 도법(인드라망 생명공동체 상임대표)
     〈생명평화 운동과 대승불교의 수행〉(《불교평론》 43호)

● 2011년 조성택(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근대 한국불교사 기술의 문제〉(《민족문화연구》 53호)

● 2013년 신규탁(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
    《규봉 종밀과 법성교학》(올리브그린, 2013)

● 2014년 김광식(동국대학교 특임교수)
     《불교근대화의 이상과 현실》(도서출판 선인, 2014)

● 2015년 이봉춘(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민족사, 2015)

● 2017년 윤창화(민족사 대표)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민족사, 2017)

● 2020년 이광준(불교학자)
    《붓다의 법담학 연구》(운주사, 2020)

● 2021년 마성(팔리문헌연구소장)
    《초기불교사상》(팔리문헌연구소, 2021)

저작권자 © 불교평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