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자 프로필

● 학력
     1965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졸업
     1975 고려대학교 상담심리학 석사 
     1986~1989 일본 고마자와대학(고마자와대학) 심리학 박사 과정 수학
    1991 심리학 박사학위 취득

● 주요 경력
1975~1978 백상창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실장
1978~1992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1989~1991 고마자와대학 심리학연구실 연구원
1993~2000 동국대, 중앙승가대, 경희대, 충북대 강의
2001~2002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외국인연구원(교수)
2002~2004 하나조노대학(花園大學) 국제선학연구소 연구원
2004~2005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내방연구원
2004~2007 일본 류코쿠대학(龍谷大學) 문학부 비상근 강사
2004~2020.3 일본 류코쿠대학 세계불교문화연구센터 객원연구원

 

불교평론 학술상 역대 수상자 (✽2007~2011까지는 ‘불교평론 논문상’으로 )

● 2007년 김성철(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삼론가의 호칭과 승랑의 고유사상〉(《불교학연구》 17호)

● 2008년 남동신(덕성여대 사학과 교수)
                〈현장의 인도 구법과 현장상의 추이〉(《불교학연구》 20호)

● 2009년 안성두(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원측 《해심밀경소》 티벳역의 성격과 의의〉(《인도철학》 27호) 

● 2010년 도법(인드라망 생명공동체 상임대표)
                〈생명평화 운동과 대승불교의 수행〉(《불교평론》 43호)

● 2011년 조성택(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근대 한국불교사 기술의 문제〉(《민족문화연구》 53호)

● 2013년 신규탁(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
                《규봉 종밀과 법성교학》(올리브그린, 2013)  

● 2014년 김광식(동국대학교 특임교수)
                《불교근대화의 이상과 현실》(도서출판 선인, 2014)

● 2015년 이봉춘(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민족사, 2015)

● 2017년 윤창화(민족사 대표)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민족사, 2017)

심사평

수상저서 《붓다의 법담학 연구》
붓다의 가르침이 전해지는 과정과 결과를 심리치료라는 현대적 관점에서 활용

《불교평론》 학술상 심사위원회는 2020년 학술상 수상자로 이광준 박사를 선정했다. 수상작은 《붓다의 법담학 연구-불교 상담학 원론에 대한 고찰》(운주사, 2020)이다. 이광준 박사는 동국대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에, 일본 고마자와대학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은 원로 재야학자이자 실제 임상경험도 갖고 있는 실천가이기도 하다. 그동안 《한국적 치료심리학》과 《카운슬링과 심리치료》 등 심리치료 관련 저술과 함께, 《정토불교의 참회사상》으로 대표되는 불교학 관련 저술도 지속적으로 세상에 내놓고 있다.
수상작을 통해 저자는 법담(法談, dharma-counseling)이라는 개념을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한 일대일의 대면관계 혹은 집단적인 정신적 문제를 상대로 대담하는 것’(27쪽)이라고 정의하면서, 법담의 방법과 심리치료 과정을 체계화하고 붓다의 최후 설법을 법담으로 재구성하는 데까지 이르고 있다. 붓다의 가르침이 전해지는 과정과 결과를 심리치료라는 현대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실제 심리상담과 치료의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까지 내놓고 있는 역작(力作)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마지막까지 경쟁에 오른 박경준 교수의 《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운주사, 2019)는 응용실천불교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집대성한 공로를 인정받을 만하다는 평가를 받았는데, 다만 최근 다른 학술상을 시상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앞으로도 우리 《불교평론》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학술 활동을 지속해가는 학자의 저술과 불교와 사회의 접점을 모색하는 실천적 저술 등에 주목하고자 한다. 수상자 이광준 박사에게 심사위원과 편집위원들의 마음을 모아 진심 어린 축하를 건넨다. ■

2020년 10월
불교평론 학술상 심사위원회

 

수상소감

법담학의 연구 가치 인정에 감사

이광준 worldamigo@hanmail.net

지금은 상담심리학이 대학마다 많이 설치되어 있지만, 제가 대학에 다닐 때만 해도 카운슬링에 대한 교육은 서울대학교에 1년 과정의 연구생 제도밖에 없었습니다. 이후 고려대학교에 상담심리학 전공의 석사학위 과정이 개설되고 해를 거듭하면서 전국적인 규모의 틀이 잡혀가기 시작했습니다. 

대학에서 불교학을 공부한 저는 불교 카운슬링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서울대에서 연구과정을 마치고 다시 고려대 대학원으로 진학해 석사학위논문으로 〈선과 상담에 관한 비교연구〉를 썼습니다. 이때 저는 본격적인 ‘불교 상담학 연구’를 진행해서 시리즈로 4권은 써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대학원을 졸업한 이후에는 광화문에서 신경정신과 병원을 운영하던 백상창 박사님을 만나 임상수련을 했습니다. 백 박사는 제가 동국대 학부생이던 때, 불교학과에 심리학 강의를 나왔습니다. 그때의 인연으로 저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셨고, 저는 백 박사님의 호의로 환자들을 돌보는 임상수련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저는 춘천간호대학(지금의 한림성심대학교)의 전임교원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저는 그곳에서 환자들을 보다 잘 볼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다가 한방과 양방의 상호보완적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한방심리학에 손을 대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이 저의 치료심리학 연구의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던 중 당시 강원대학교에 와 계시던 김지견 교수님의 소개로 선심리학의 전문적인 연구를 위해 일본 고마자와대학( 駒澤大學)으로 유학을 하게 되었습니다. 고마자와 대학에서 5년간 연구 끝에 써낸 논문이 〈카운슬링에 있어서의 선심리학적 연구〉였습니다. 이후 한국의 대학으로 올 예정이었으나 뜻밖의 사정이 생겨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야 했습니다. 일본에서는 문부과학성 산하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로 들어가 ‘태생론에 대한 선심리학적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 과제는 선심리학에 대한 개념 자체를 재정리하면서 인간의 발생발달과정을 불교와 생명과학적 입장에서 추구하는 연구였습니다. 하지만 불교상담학에 대한 연구는 쉽게 손에 잡히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불교상담학의 원론적인 입장에서 불교의 법담사상을 학문적으로 정리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후 하나노조대학(花園大學)과 류코쿠대학(龍谷大學)에서 선심리학과 정토심리학, 태생학 연구를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법담학 연구자료를 찾아가면서 원고를 작성했습니다. 10년이 지나도록 계속해서 법담학 연구를 하다 보니 ‘붓다’ 편과 ‘붓다 이후’ 편 두 권의 원고가 준비되었는데, 이번에 그 1권을 내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 책은 그야말로 상담학적 의미가 있는 불교 법담학의 개념 정리와 사상 체계를 세워놓고자 한 것입니다. 

돌아보면 이러한 작업이 부족하기는 하지만 필자로서는 불교에 있어서의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과정과 인격적 성숙을 지향하기 위한 법담학의 사상적 기초를 세워놓았다는 점에서 자긍심을 갖게 됩니다.

더욱이 이 기초적인 연구가 《불교평론》의 금년도 학술상으로 선정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고 불교법담학의 연구 가치를 인정해주셔서 매우 고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불어 훌륭한 연구자들의 업적이 시대의 발전에 부응하는 불교학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

 

《불교의 법담학 연구》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제1장 법담학 서설
  제1절 법담(法談: dharma-counseling)이란
      1. 설법과 법담의 개념 2. 법담의 신개념 3. 법담가의 자질
  제2절 법담학으로서의 불교
      1. 불성 실현에의 길 2. 본불(本佛) 발견에의 길 3. 절대적 인격 실현에의 길 
  제3절 연기설의 세계관
      1. 붓다 시대의 세계관 2. 연기 3. 인연·연기에 관한 비유
  제4절 업과 인과사상
      1. 업과 인과 2. 초기불교의 인과설 3. 업과 연기

제2장 법담의 사상체계
  제1절 선교방편으로서의 4무애변
      1. 방편의 의미 2. 4무애변과 7변(七辯) 3. 4무애해
  제2절 사(辭)와 변(辯)
      1. 사(辭: 언어) 2. 변(辯: 隨器開導)
  제3절 변방편(辨方便)으로서의 칠지(七知)
      1. 칠지의 의미 2. 《불설칠지경(佛說七知經)》의 칠지(七知)
      3. 《집이문족론》의 칠묘법(七妙法)
  제4절 칠지 중의 이지(二知)
      1. 지중 2. 지인근 3. 선교방편으로서의 칠지(七知)

제3장 붓다의 인간관
  제1절 중생으로서의 인간
      1. 인간의 의미 2. 중생(유정)의 의미 3. 중생의 실존적 비유
  제2절 붓다의 업설(業說)과 윤회하는 인간
      1. 붓다의 업사상 2. 붓다의 업설과 윤회와의 관계 3. 업사상의 법담학적 의의
  제3절 아와 무아의 사상
      1. 아와 무아 2. 오온무아설(五蘊無我說) 3. 실아무아설(實我無我說)
  제4절 붓다의 심성관
      1. 심성본정설 2. 부파불교의 심성설 3. 대승불교의 심성설
  제5절 불교에 있어서의 이상적 인간상
      1. 심청정의 인간상 2. 대승보살도에 나타난 인간상
      3. 불교에 있어서의 인간상의 제상(諸相)

제4장 붓다의 고관(苦觀)
  제1절 고의 해설
      1. 고의 종류와 삼도(三道) 2. 고의 원인-무명과 갈애 3. 붓다의 출가 동기-10고(十苦)
      4. 5취(五趣)의 5고(五苦)
  제2절 4고(四苦)와 8고(八苦)
      1. 유정의 4고와 8고 2. 《5왕경》과 《유가사지론》의 8고(八苦)
  제3절 고(苦)의 철학적 접근
      1. 사제 중의 고제 2. 《대고온경》 및 《소고온경(小苦蘊經)》의 과환(過患)
  제4절 고의 해결과 사제 팔정도
      1. 사제-고뇌의 병리학 2. 사제로부터 대승불교의 공(空)으로
      3. 노 · 병 · 사를 체념한다 4. 팔정도

제5장 붓다에서 보는 법담체계의 전형
  제1절 의왕 붓다
      1. 의왕과 응병여약 2. 비유법 3. 붓다의 최초의 법담교화 4. 무상존(無上尊)의 인격
  제2절 세존의 인격
      1. 사무량심의 정신 2. 세존의 위의 3. 붓다 당시의 세인과 제자들의 평가 4. 대자대비
  제3절 중도 · 연기 · 불성설의 법담학
      1. 법담가로서 생각해 볼 문제 2. 중도 3. 연기 4. 불성의 개발
  제4절 붓다의 구제사상과 법담
      1. 구제의 개념과 교설 2. 중생구제의 길 3. 중생제도의 실존적 비유

제6장 붓다의 법담 방법
  제1절 대기법담
      1. 대기법담이란 2. 붓다의 법담 기준 3. 붓다의 법담 사례 일람
      4. 신통시현(神通示現)의 전승사례
  제2절 차제법담
      1. 차제법담 2. 중도의 필요성 3. 보시와 계율과 생천의 법담 4. 법안의 각증(覺證)
  제3절 교계법담(敎誡法談)
      1. 인간의 6종 성격에 대한 대응 방법 2. 4종 사문 3. 법담과 성묵(聖默)
      4. 자비심 없는 논쟁은 하지 말 것
  제4절 법담 방법의 특징
      1. 법담으로서의 교화 2. 붓다의 법담 방법의 특징 3. 침묵의 원리
      4. 십사난에는 답하지 않음

제7장 불교의 심리적 질병관
  제1절 불교의 심리적 병인론
      1. 경전상의 질병관 2. 심병(心病)과 업 3. 《대지도론》의 설 4. 병인(病因) 추적의 특징
  제2절 심병의 개요
      1. 심병의 원인과 병명 2. 광(狂)과 난(亂)의 개념과 산란 3. 광혹 4. 귀병과 마병
  제3절 발광에 관한 문제
      1. 《대비바사론》의 설 2. 《성실론》의 설 3. 《발지론》의 설
  제4절 《구사론》의 심광업(心狂業)
      1. 심광의 원인 2. 염오와 불염오 3. 심광(心狂)하는 유정들 4. 성자들의 경우
  제5절 《대지도론》의 심병론
      1. 광병(狂病) 2. 난심 3. 번뇌 중심의 심병 4. 번뇌병의 분류와 대처 방법

제8장 불교의 심리치료 방법(I) 
  제1절 좌선요법 1. 좌선요법이란 2. 보통의 좌선요법 3. 수식좌선요법(數息坐禪療法)
  제2절 법의 위력요법(威力療法)
      1. 참회요법 2. 법열요법(法悅療法) 3. 위력요법(威力療法) 4. 촉수요법(觸手療法)
  제3절 염력요법(念力療法)
      1. 공(空)-병은 없는 것이라고 념(念)한다 2. 이미지 요법
  제4절 광명요법
      1. 광명요법 2. 사경요법(寫經療法)

제9장 불교의 심리치료 방법(II)
  제1절 《구사론》의 심리치료
      1. 마음병 치료(心病治療)-단혹법(斷惑法) 2. 정심(定心)의 성취 방법 3. 무아의 관지(觀智)       4. 의지박약의 심리적인 병
  제2절 《유식론》의 심리치료
      1. 마음병(心病)의 근원 2. 번뇌장의 치료법
  제3절 전세요법
      1. 윤회사상에 기초한 새로운 심리요법 2. 최면요법과 그 역사 3. 전세요법(前世療法)
  제4절 불교 간호의 소양
      1. 마음의 준비 2. 병의 가르침에 따름 3. 병에 걸리지 않는 법

제10장 붓다의 법담과 최후의 설법
  제1절 붓다의 법담 실제
      1. 시사구담미의 사례(아이의 죽음) 2. 갖가지 비유 3. 본생담 4. 참된 어자(御者) 
  제2절 집단법담
      1. 피안에 이르는 길 2. 16제자들의 질문과 붓다의 답변 3. 불제자들의 질문에 대한 결론
  제3절 가야산의 산상설법
      1. 치연(熾燃)의 설법 2. 마음이 가난한 자 3. 구극의 경지-열반 4. 빔비사라 왕의 귀의
  제4절 최후의 설법-자등명 · 법등명
      1. 최후의 여로 2. 자기를 의지처로 하라 3. 사라의 쌍수 아래에서 4. 크나큰 열반

 

수상자 연구논문 저서

● 발표 논문
[일본]

〈인간의 태생론(胎生論)에 대한 선심리학적연구〉 국제일본문화센터 공동연구회, 2001.10.
〈선심리학적 생명관〉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포럼, 국제교류기금 교토지부, 2002.5.
〈이십일세기에 있어서의 선심리학의 연구문제〉 고마자와대학 선연구소 공개연구회, 대학회관, 2002.10.
〈불교심리학의 연구과제〉 류코쿠문학부, 류코쿠大宮學舍, 2002.12.
〈정토론에 있어서 심리학적 연구〉 류코쿠 정토심리학연구회, 2008.5.


[한국]
〈학생지도를 위한 학생상담기법〉 동국대학교 교직원 하계연수 세미나, 동국대 경주캠퍼스, 1992.7.
〈동의심리학과 선심리학〉 전국한의과 대학 신경정신과학회 동계연수세미나, 유성관광호텔, 1994.12.
〈한국인의 심리학적 구조와 선심리학적 카운슬링〉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분과회 월례 발표회, 홍익대학교 교육관, 1995.10.
〈청소년 건전 육성을 위한 사회적 역할〉 문화체육부 후원, 인천 청소년 유해환경감시단, ‘청소년 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에 관한 세미나,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1995.12.
〈북한 문제의 통일심리학적 접근〉 조국평화통일 불교협회 창립 5돌 기념 세미나, 평화통일불교협회, 1996.4.
〈청소년 지도를 위한 지도자의 자질향상 방안〉 대한불교조계종 청소년 학술세미나, 조계종 문화교육관, 1996.5.
〈주유소 등의 미성년자 고용에 따른 사회적 현안〉 문화체육부 후원,인천 청소년 유해환경감시단 세미나, 인천시청대회의실, 1996.6.
〈정신분석과 선심리학〉 동국대 불교대학원 총동문 지도자 연수 세미나, 등명낙가사, 1996.7.
〈유해환경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인천광역시 ‘96 청소년지도위원 연수 세미나, 인천지방공무원교육원, 1996.9.
〈현대사회에 있어서 자녀교육 문제〉 광주로타리클럽, 광주군청, 1996. 9.
〈십이연기론과 생명발생학〉 한국전통불교연구원 2003년도 학술강연회, 2003.6.
〈불교의 윤회설과 생명과학-십이연기론의 생명발생학적 해명〉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2003.11
〈청담대종사의 참회사상〉 진주산업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청담사상학술세미나, 2003.11
〈불교와 상담〉 한국불교상담학회 제1회 학술대회,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2008.12.
〈불교명상과 심리요법〉 한국불교상담학회 제2회 학술대회, 동국대 경주캠퍼스, 2009.12.
〈선과 심리학〉 동국대학교 정각원, 2010.2.6.
〈불교와 뇌과학〉 한국전통불교연구원, 2010.6.27.
〈한일 고대 불교교류사〉 불교학연구회, 외국어대학교, 2010.11.13.

● 연구 논문
[국제 학술회의]

〈보조국사 지눌의 사상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대한전통불교연구원 제10회 국제불교학술회의, ‘보조국사 지눌의 사상’, 강원대학, 1984.7.
“Oriental thought and Psychotherapy”, 13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therapy, Yugoslavia, 1985.10.
〈달마의 선문답과 《안심법문지고》 유 · 불 · 도 삼교관계, 중국사회과학원, 중국, 함양, 1997.8
〈재판심리학의 전망과 과제〉 《허위자백과 재판과정의 심리학》 한국법심리학회 2003년 춘계국제학술대회 주제발제, 서울 중앙대학교, 2003.5.
〈마음으로 찾아가는 108산사 순례기도회〉 《순례》 2010년도 한국불교학회국제학술회의 동국대, 2010.4.
[일본 학술지]
〈보조선(普照禪)에 있어서 분석적 요법의 의미〉 일본심리학회 제52회 대회, 히로시마대학, 1988. 10.
〈한국의 카운슬링에 있어서 철학적 정초를 위한 일고〉 일본 Counseling 학회 제22회 대회, 쓰쿠바대학(筑波大學), 1989. 5.
〈이십일세기에 있어서 선심리학의 연구문제〉 고마자와대학 《선연구소연보》 제15호, 2003.12.
〈태생론에 대한 선심리학적 연구〉 《밀교학》 제42호, 슈치엔대학 밀교학회(種智院大學密敎學會), 2006.3.
〈선과 심리학의 접점〉 일본종교학회 제67회 학술대회, 쓰쿠바대학, 2008.9.
〈선불교와 묘호인(妙好人)〉 일본인도학불교학회 제61회 학술대회, 릿쇼대학(立正大學), 2010. 9.

[한국 학술지]
〈선과 상담에 관한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74.12.
〈정신분석학적으로 본 선의 일고찰〉 《인간과학》 한림대학교, 1978.9. 
〈집단정신분석요법에 관한 임상심리학적 고찰〉 춘천간호전문대학 논문집 제9집, 1979.12.
〈한방진단학에 관한 임상심리학적 연구〉 춘천간호전문대학 논문집 제10집, 1980.12.
〈신경성고혈압에 관한 한방심리학적연구〉 춘천간호전문대학 논문집 제11집, 1981.12.
〈상담을 위한 성서적 자원의 일고찰〉 춘천간호전문대학 논문집 제12집, 1982. 12.
〈유가의 인간본성론 연구〉 춘천간호전문대학 논문집 제13집, 1983. 12.
〈순자(筍子)의 성악설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이해〉 《인간과학》 한림대학교, 1984.10.
〈S. Freud의 ‘전이신경증개관’고〉 춘천간호전문대학 논문집 제19집, 1989. 12.
〈한국적 사고양식에 있어서 심리 · 사상사적 고찰〉 《동과 서의 사유세계》(김지견박사화갑기념논총, 한국고신문화연구원), 민족사, 1991.9.
〈화병에 있어서 선심리학적 일고찰〉 《불교사상논총》(신정오박사 화갑기념논총) 하산출판사, 1991.10.
〈Oedipus Complex와 Ajase Complex의 대비적 고찰〉 《가산학보》 1996.7.
〈도선국사와 도선사〉 《도선국사와 한국》 한국전통불교연구원, 제12회 국제불교학술회의, 민족사, 1996.7.
〈정신분석학 해체와 선심리학〉 《선불교와 해체론시대의 서구철학》 성철선사상연구원, 연세대 철학연구소, 1997.5.
〈선사상에 대한 종교심리학적 연구〉 1997 한국종교학회 추계학술대회, 이화여대, 1997.11.
〈불교의 심식론(心識論)과 뇌과학〉 《불교평론》 2010, 겨울호.
〈불교사회복지 이론의 교리적 배경〉 《불교평론》 20l2, 여름호.
〈원효와 의정의 입당구법(入唐求法)〉 《불교평론》 2016, 겨울호

● 저서
《카운슬링에 있어서 선심리학적 연구》 일본 산림방출판, 1994.10.
《한국적 치료심리학》 행림출판사, 1996.12.
《일본 그 문화와 사회》 학문사, 1996.12.
《카운슬링과 심리치료》 학문사, 1998.7.
《정신분석 해체와 선심리학》 학문사, 2000.3.
《한방심리학》 학문사, 2002.6.
 

저작권자 © 불교평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