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석보(月印釋譜)>는 어떤 책인가

자식 잃은 아비 세조가 돌아가신 부모님께 바치는 절절한 사부곡이자 사모곡

 

1446년 훈민정음을 반포한 지 10개월 만인 1447년 7월 칠석에 24권의 대작 《석보상절》이 완성된다. 그것을 보고 아버지 세종이 단숨에 노래를 지었으니 바로 600수에 가까운 《월인천강지곡》이다. 1446년은 훈민정음이 반포된 해이지만 세종과 세조에게는 그해 3월 아내와 어머니 소헌왕후를 여읜 해이기도 하다. 나이 쉰의 아비와 서른의 아들이 세상이 무너지고 의지할 데 없는 큰 슬픔 속에 오직 바라는 한 가지는 소헌왕후의 극락왕생이었을 것이다. 때마침 그들에게는 출시를 앞둔, 세상을 가르칠 새로운 문자 훈민정음이 있었다. 이 새 문자로 먹고 자는 것도 잊을 만큼 열과 성을 다하여 두 부자의 작품이 탄생한 것이다. 그 후 12년이 지난 1459년 세조는 고인이 된 부모님과 요절한 아들 의경세자를 위하여 《월인천강지곡》의 ‘월인’과 《석보상절》의 ‘석보’를 따서 합한 책 《월인석보》를 만든다.

세조 5년, 1459년 집권도 안정적이고 한숨 돌리는 시간, 그는 수양대군 시절 아버지 세종의 명에 따라 만들었던 《석보상절》을 다시 매만진다. 개인적으로 슬픈 일도 많았지만 이 《월인석보》 작업을 할 때에는 식음을 잊고 바쁜 정사에서 시간을 쪼개가며 틈을 내어 하였다는 기록이 《월인석보》 서문에 전한다.

저자 정진원 교수는《월인석보》 스물다섯 권 중 첫 권을 현대국어로 옮기고 다듬어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을 붙였다. 세조의 절절한 사모곡과 사부곡, 자식 잃은 아비의 슬픔과 왕이 되기 위해 저질렀던 잘못의 참회로 가득한 《월인석보》 서문으로부터 석가모니의 과거세 연등불 시절 선혜와 구이 이야기, 불교의 우주관과 세계관, 모계 중심의 사회로 시작되는 인간 세계의 불교식 창세기가 《월인석보》 본문에 광대한 스케일로 촘촘히 실려 있다. 그 도저하고 유장하고 사무치는, 15세기까지 이어진 우리 선조의 정수를 담은 불교 이야기 《월인석보》는 현재 25권 중 19권이 발견된 상태로, 저자는 전권 번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자는 주석을 일일이 풀이하기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이 유려한 수양대군의 육성에 귀 기울일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 세주와 본문을 풀이하였다.

 

최초의 조선 대장경, 조선 최고의 걸작 《월인석보》의 탄생

조선은 ‘유교儒敎’를 국시로 삼고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을 펼쳤다. 심지어 세종은 삼국시대 이래 고려시대 불교를 대표하는 다섯 가지 교종과 아홉 산문에 자리 잡았던 선종 5교 9산을 혁파하고 선종과 교종 곧 선교 양종으로 불교를 대폭 축소시킨 주인공이다. 그런 세종이 왕자였던 수양대군에게 《석보상절》을 짓고 서문을 쓰게 한 사실이 《월인석보》 서문에 자세하다.

《석보상절》은 석가모니께서 태어나고 열반에 드실 때까지의 일생과 설법한 경전 내용을 자세히 할 것은 자세히 하고 간략히 할 것은 간략하게 편집한 조선시대 최초의 ‘훈민정음 불경’이다. 《월인천강지곡》은 불교의 진리를 상징하는 달이 하나이지만 지상에 있는 천 개의 강에 똑같이 도장 찍히는 것처럼 부처의 진리가 온 세상에 두루함을 노래한 것이다. 특히 《석보상절》의 내용을 게송처럼 요약한 것이다. 일반적인 불교 경전의 형식은 부처의 설법 내용을 전한 뒤에 요약한 게송이 이어지는 순서로 되어 있다. 우리의 최초 조선대장경도 그 형식대로 하자면 제목이 ‘석보+월인’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수양은 세조가 된 뒤 5년 후인 1459년 아버지 세종의 노래 《월인천강지곡》을 앞세우고 아들인 자신이 쓴 《석보상절》 산문 순서를 뒤로 하여 ‘월인+석보’의 순서로 만든 것이다. 조선식 대장경의 시작이다.

소헌왕후는 세종의 부인이자 수양대군의 어머니이다. 일찍 세상을 떠난 소헌왕후를 위하여 남편과 아들이 극락왕생을 비는 것이 어쩌면 이 책을 출간한 직접 이유일 것이다. 만든 기간은 1년이 채 안 되지만 조선시대까지 유통되고 가장 많이 회자된 불교 경전, 그 시대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경, 율, 론’ 삼장을 망라하여 엄선 또 엄선한 요체들을 모아서 ‘각별히’ 만든 책이다.

《월인석보》 서문에 저간의 사정이 잘 설명되어 있다. 12부 수다라를 섭렵할 능력이 있는 사람이 만든 것이다. 12부 수다라는 12부경이라고도 하는 석가모니의 교설을 12가지로 분류한 경전이라는 뜻이다. 물론 세종과 세조도 불교에 조예가 깊고 세상이 다 아는 박학다식한 천재들이다. 저자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석보상절》 뒤에는 김수온의 그림자가 어른거리고 《월인석보》 뒤에는 신미 대사가 서 있는 모습이 보인다고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김수온은 신미 대사의 동생으로 1446년 ‘증수석가보增修釋迦譜’를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월인석보》에는 훈민정음 창제부터 깊이 관여하고 왕들이 스승으로 추앙해 신하들의 질시를 한 몸에 받았던 신미 대사의 자취가 남아 있음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과연 그러한지 신중하게 앞으로 훈민정음 불경을 차근차근 천착하며 밝혀내야 할 우리의 숙제이다.

 

우리 문화를 대표하는 문자 훈민정음, 21세기 세계 유산이 될 《월인석보》

《월인석보》에는 15세기 국어대사전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는 세주細註가 가득하다. 세주는 협주夾註라고도 하는데 본문 다음에 작은 글자 두 줄씩 들어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부夫는 말씀 시작하는 곁에 쓰는 글자이다. 진원眞源은 진실의 근원이다”와 같이 본문의 내용을 쉽게 풀이하고 정의하는 방식이다.

《월인석보》는 한문이 크고 굵은 글씨로 먼저 나오고 한 칸 내려서 훈민정음으로 그 내용을 풀어 쓰는 형식이 잘 나타나 있다. 책의 저자가 높여야 할 부처라든지 왕인 경우에는 이처럼 줄을 바꾸어 대우를 달리한다. 같은 왕이지만 아들 세조가 아버지 세종을 호명한다든지 높여야 할 인물을 써야 할 경우에도 줄을 바꾼다.  또 《석보상절》보다 훨씬 내용이 자세하고 철학적이다. 마치 훈민정음을 학습하고 〈팔상도〉를 이해한 사람이 처음으로 12부 불교 경전을 샅샅이 참조하여 한 치의 오차도 없이, 확신이 들 때까지 수정하고 또 수정하며 의심나면 백방에 물어 해결하듯이 불교의 근본과 진리의 궁극을 마침내 꿰뚫고자 인간이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한다.

그렇게 자문을 구한 인물들이 세주 주석에 나온다. 곧 혜각존자 신미信眉와 판선종사 수미守眉, 판교종사 설준雪埈, 연경사 주지 홍준弘濬, 전 회암사 주지 효운曉雲, 전대자사 주지 지해智海, 전소요사 주지 해초海招, 대선사 사지斯智, 학열學悅, 학조學祖, 가정대부동지중추원사 김수온金守溫이 그들이다. 저자는 이들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월인석보》는 세조가 생과 사의 극단을 경험한 연후에 탄생한다. 세조가 생사의 이 모든 슬픔과 괴로움에서 벗어나고자 얻은 결론은 10여 년 전 아버지 세종과 함께 열과 성을 다했던 일, 돌아가신 어머니를 추모하며 의지했던 불교였다. 아이러니하게도 살생을 일삼았던 그가 살생을 금하는 불교에서 치유를 받는 것도 의미심장하다.

건국한 지 100년도 안 된 불안한 신생 국가 조선의 기틀을 안정시키겠다는 대의명분이 있었다지만 한바탕 피바람을 일으킨 주인공 세조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온 극한 괴로움의 인생유전. 어떤 대의명분으로든 인간으로서 차마 못할 짓을 하고 무소불위의 권력을 누리게 되었지만, 어려서부터 불교를 신봉하고 경전 공부를 천착한 세조는 아들의 죽음에 비로소 자신의 가장 밑바닥에서 불교라는 귀의처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아버지를 만나고 어머니를 만나고 세자를 만나는 길임을 알기에 자기의 온 마음과 피로써 그야말로 심혈을 기울여 지극정성으로 만든 것이 바로 우리가 만나는 《월인석보》이다. 세조의 자리이타自利利他, 나를 구원하는 일이 곧 남을 구원하는 일이었다. 그리하여 《월인석보》는 21세기까지 살아남은 가장 훌륭한 문자 훈민정음과 우리 문화를 대표하는 세계문화유산이 될 만하다.

 

◆ 책 속으로

 

《월인석보》  1권의 이야기는 모두 108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글을 읽노라면 108 염주 한 알 한 알을 실에 꿰듯이, 108배 한 절 한 절마다 정성을 다하여 기도하는 느낌이 든다. 인생의 무상함이 사무치게 느껴지는, 그럴수록 걸음마 시작하는 아이의 손을 잡고 걸음을 떼듯 만고의 진리를 배우게 하는 글. 그렇게 세조의 손을 맞잡고 더듬더듬 읽은 108장의 첫 권을 이제 독자들과 나눈다. ― 〈여는 글〉 중에서

《월인석보, 훈민정음에 날개를 달다》는 에세이처럼 읽히지만 국어학과 불교학을 함께 전공한 저자의 공력이 스며든 역작이다. 이제 우리 고전도 학문의 세계에 갇혀 있기보다 이렇게 대중과 만나는 시도를 통해 현대에 살아 있는 고전으로서 기능을 다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이 우리 고전의 대중화를 넘어 전 세계에 K-Classic으로 한류의 진화된 모습을 보여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저자의 서원대로 월인석보 전권 25권까지 번역을 응원한다. ― 김영배(동국대학교 국어국문과 명예교수)

 

정진원

홍익대학교에서 《석보상절》과 《월인석보》를 주제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동국대학교에서 삼국유사를 주제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동국대 세계불교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일하고 있다. 훈민정음 불경과 삼국유사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한 국내외 강의와 글쓰기에 주력하고 있다. 《중세국어의 텍스트언어학적 접근 방법》, 《삼국유사, 여인과 걷다》,《삼국유사, 자장과 선덕의 신라불국토프로젝트》 등의 저서가 있다.

 

저작권자 © 불교평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