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주 어렸을 때의 일이다. 동네 사람들은 우리 집을 청리당(靑梨堂)이라고 불렀다. 뒤꼍에 제법 큰 오얏나무가 있었기 때문이다. 청리당! 푸른 오얏나무 집! 청리당은 안채와 바깥채로 나뉘어 있는 있었는데, 바깥채의 사랑방은 늘 열려 있었다. 청리당의 사랑방은 막은골의 할아버지들이 모여 쉬고 노는 곳이었다.
그때 할아버지한테 들은 얘기는 매우 많았다. 얘기들 중에는 묫자리에 관한 것도 있었고, 포졸에 관한 것도 있었고, 효자 효부에 관한 것도 있었다. 물론 이 마을 저 마을의 전설도 들어 있었다. 더러는 전국의 유명한 스님에 관한 얘기도 있었고, 가끔은 당골의 무명한 스님에 관한 얘기도 있었다.

할아버지는 어린 나를 데리고 늘 이런저런 얘기를 했다. 내게 무언가 교훈이 될 만한 것을 전해주고 싶은 것이었다. 우리 할아버지인 건옥 씨는 걱정이 많은 분이었다. 무엇보다 도무지 철이 나지 않는 아버지에 대한 걱정이 컸다. 마작을 좋아하는 아버지는 겨울만 되면 집에 들어오지 않는 날이 많았다. 더러는 장터 삼거리다방의 미스 김과 밤을 지내기도 했다. 그런 날은 온종일 함박눈이 내렸다.

할아버지의 걱정은 아버지에게 그치지 않았다. 할아버지는 10촌쯤 된다고 하는 덕인 스님에 대해서도 늘 걱정을 했다. 할아버지를 노심초사하게 하는 덕인 스님은 구돌기 아저씨의 양아들이었다. 그는 집안의 전설이었다. 만주에 가 생선도가를 해 큰돈을 벌었다는 구돌기 아저씨! 말년의 그는 사업을 접고 금강의 나루터인 나리재에서 큰 집을 짓고 살았다. 작은 부인을 두고도 자식을 얻지 못했는데, 한때는 근동에서 제일가는 부자로 알려져 있었다.

구돌기 아저씨는 덕인 스님을 늘 못마땅하게 생각했다. 양아들이라는 사람이 절집에 들어가 중이 되어 살았기 때문이다. 덕인 스님은 양아버지인 구돌기 아저씨한테 물려받은 재산으로 우선 당골에 절집부터 한 채 지었다. 절집의 이름은 경신사(敬愼寺). 내게는 경신사(敬神寺)로 읽혀 늘 무당의 당집을 연상시켰다. 경신사는 크고 웅장하지는 않았지만 대웅전도 있었고 산신각도 있었다. 절집을 짓다 보니 덕인 스님한테는 남은 재산이 별로 없는 듯했다.

할아버지는 3대 독자였다. 삼촌이나 사촌 등 가까운 친척이 없었다. 그래서일까. 할아버지는 먼 친인척들에게도 정성스럽게 대했다. 특히 구돌기 아저씨는 아주 극진히 모셨다. 구돌기 아저씨도 할아버지를 믿고 의지해 모든 대소사를 의논했다. 물론 할아버지와 구돌기 아저씨는 나이 차가 많이 났다. 구돌기 아저씨는 할아버지보다 서른 살은 더 많은 듯했다.

구돌기 아저씨의 큰 부인이 죽고 장례를 치른 뒤였다. 그 자신도 이승을 하직하기 얼마 전이었다. 이제 식솔이라고는 저 자신과 작은 부인밖에 남아 있지 않았을 무렵이다. 구돌기 아저씨가 자신의 집으로 할아버지를 불렀다.

“자네가 그동안 늘 내 형편을 잘 헤아려주어 고맙네. 이제는 자네가 나와 소잠댁도 맡아주어야겠네. 나는 곧 저세상으로 갈 사람이네. 하지만 아직 젊은 소잡댁은 그렇지를 않네. 내 집으로 들어와 나와 함께 사세. 자네 살림은 건진이한테 주게. 경신사의 덕인 스님한테 주라는 말이네. 내가 죽으면 우리 집 살림을 자네가 차지해 살며 소잠댁을 좀 보살펴 줘. 소잠댁은 아주 착한 사람이야. 자네가 모셔도 별로 불편하지 않을 사람이야. 남은 살림이 많지는 않네. 산이 좀 있고, 밭이 좀 있네. 그것들과 이 집을 보태 자네가 소잠댁을 봉양해 주게. 건진이는 중이잖아. 덕인 스님!”

할아버지는 구돌기 아저씨의 말씀을 거역하지 않았다. 구돌기 아저씨는 정말로 오래 살지 못하고 세상을 떴다. 그런 뒤 할아버지는 당신의 조모와 함께 소잠댁을 10년이 넘도록 잘 모시고 살았다.

덕인 스님, 이건진 씨는 신수가 훤한 분이었다. 뽀얗고 하얀 얼굴의 덕인 스님은 무엇보다 인물로 한몫을 했다. 덕인 스님은 할아버지보다 열다섯 살쯤 나이가 더 어렸다. 이 멋진 덕인 스님은 가끔씩 바랑을 매고 막은골의 청리당에도 탁발을 나오고는 했다. 그때마다 덕인 스님은 대문 앞에서 목탁을 두드리며 큰소리로 《반야심경》과 《천수경》을 외웠다. 나도 이렇게 목탁을 두드리며 경을 읽는 덕인 스님을 여러 번 뵌 적이 있다. 그때마다 사랑방의 할아버지는 혀를 끌끌 차며 말했다. “기껏 반야심경이나 천수경을 외우며 탁발을 다니고……. 중이 공부를 해야지. 공부를!”

덕인 스님을 두고 할아버지는 늘 ‘게으른 중’이라고 불렀다. 걸핏하면 중이 천도재도 지낼 줄 모른다고 핀잔을 했다. 덕인 스님이 큰 절에서 큰스님을 모시고 제대로 공부를 하지 않은 것은 분명했다. 그럼에도, 할아버지는 덕인 스님이 청리당에 탁발하러 올 때마다 아주 융숭하게 대접했다. 식사도 꼭 할아버지와 겸상을 해 차리도록 했고, 쌀도 바랑에 가득가득 채워 보내도록 했다.

내가 초등학교 저학년 때의 일이다. 덕인 스님은 아들 하나를 데리고 와 공양주로 일하던 진보살을 아예 안주인으로 들여앉혔다. 안주인으로 들어앉자 진보살은 아예 자기가 직접 바랑을 메고 탁발을 나오기도 했다. 보릿고개를 넘기기가 너나없이 힘들던 1960년대 초의 일이다. 들녘인 막은골에서도 농토가 좀 넉넉한 몇몇 집만 겨우 양식 걱정을 하지 않았다. 산녘인 당골의 경신사는 당연히 형편이 안 좋았다.

할머니는 진보살을 볼 때마다 입을 삐쭉댔다. 진보살이 데리고 온 아들 최성내를 앞세워 탁발하는 것을 특히 못마땅했다. 할머니는 저것이 거렁뱅이지 중이냐고 부렁부렁대고는 했다. 그래도 어머니는 할아버지의 뜻에 따라 진보살의 바랑에 가득가득 쌀을 채워 보내고는 했다. 할아버지는 밥상머리에서도 늘 최성내의 머리를 쓰다듬으며 많이 먹으라고 말했다.

6·25 전쟁이 끝난 뒤 누구나 다 힘들던 시기를 경신사의 덕인 스님은 남의 사주나 봐주며 게으르게 살다가 열반했다. 당시 나는 덕인 스님의 내면을 전혀 알지 못했다. 지금쯤 만났더라면 대화가 좀 되었을 텐데……. 일하기가 싫어 중질을 한다고 할아버지한테 참 많이 구박을 받던 덕인 스님! 언제나 인물이 훤하던 그분은 내가 기억하는 첫 번째 스님이었다. ■

이은봉 / 광주대학교 교수

저작권자 © 불교평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