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탁 저《규봉 종밀과 법성교학》

❐ 목  차 ❐

머리말 ― 새로운 연구 시각의 모색
제1장 중국 불교 연구와 그 반성
불교 연구의 반성 / 동아시아론 / 지적(知的) 제국주의 / 동북아시아의 불교 연구와 반성 / 문제점과 대안의 모색

제1부 ― 중국적 불교의 시작
제2장 한역 대장경의 출현
중국적 불교의 시작 / 불전의 번역과 해석 / 목록 작업과 교리의 분류 / 한역 대장경 시대의 개막
제3장 불교와 유교의 충돌
‘효’의 나라 중국 / 불교와 유교 윤리와 충돌 / 불교 쪽의 반응 / 유·불·도 3교의 ‘효’ 이론 비교
제4장 불교와 도교의 충돌
도교와의 차별화 / 길장의 외도 비판; ‘유’와 ‘무’의 변증 / 당대 화엄교학가의 외도 비판 / 불교의 우위 확보
제5장 불교 우위론의 이론적 확립
『원인론』의 중국 사상사적 위상 / 인간의 본질에 대한 종밀의 분석 / ‘본각진심’의 의의

제2부 ― 종밀 교학의 지평
제6장 규봉 종밀의 자아관
무상과 자아 / 자아론의 비판과 해체 / 중국화된 자아론 / 참 자아의 요청
제7장 규봉 종밀의 선종관
선종의 출현 / 종밀이 분류한 당시 선종 / 종밀의 선 사상 이해와 그 특징 / 종밀의 선종 비판은 사실에 근거했는가 / 선종의 심성론
제8장 규봉 종밀의 수행관
남돈(南頓) 북점(北漸) / 수행 이론의 여러 양상 / 돈오점수의 현창
제9장 규봉 종밀의 의례관
불교 의식의 정의와 분류 / 종밀 선사에 의한 ‘교리’와 ‘의식’의 체계화 / 정원 법사에 의한 ‘교리’와 ‘의식’의 체계화 / 현행 예공의식과의 관계 모색

제3부 ― 법성 교학의 정립
제10장 종밀의 교학과 법성교학의 만남
화엄 조사로서의 종밀 / 요간(料揀)과 회통(會通)을 통한 법성종의 현양 / 법성종 현양의 의의 /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신뢰
제11장 화엄의 법성교학
법성교학 / 법성의 믿음 / 부처님의 가르침 / 화엄의 수행법 / 보현행원의 실천
제12장 화엄의 법계관
법성교학의 실천 이론 / 『법계관문』의 구성 / 『법계관문』에 나오는 ‘관(觀)’의 성격 / 화엄 법계의 체험
제13장 화엄의 보현행원 의례
법성의 교학과 의례 / 「보현행원품」의 출현과 그 내용 / 『보현행원품』에 입각한 의례 / 〈삼보통청〉과의 비교

제4부 ― 법성 교학의 응용
제14장 법성교학에서 본 선사상
당대 선종의 출현과 계보의 왜곡 / 선어록에 쓰이는 논법 / 『사가어록(四家語錄)』의 사례 분석 / 선정일치
제15장 법성교학에서 본 정토사상
선과 정토의 관계 / 희망의 나라로 향하는 동경 / 법성교학에서 본 정토 / 다양한 방편문의 제시
제16장 법성교학에서 본 계율사상
대승불교의 윤리 생활 / 『범망경』 독서 여정기 / 『범망경』 출현의 일대사 인연 / 보살계 ‘병행’의 철학적 의의 / 대승보살계로 돌아가자
제17장 법성교학에서 본 젠더
  성별의 혼란 / 예비적 고찰 / 성별(gender)의 전환(trans)에 관한 근거 모색 / 법성교학에서 본 대안

맺음말 ― 미래를 향한 제안
제18장 생활 속의 법성교학
이 땅의 법성교학 / 대승의 수행 공동체에 들어가기 / 신행생활로 돌입하기/ 법성교학의 법회 양식 모색

저작권자 © 불교평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