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색과 성찰

그 어떤 사상가나 종교의 교조들에 비해 인간의 평등을 가르치셨던 분이 우리의 스승이신 석가모니 부처님이셨다. 부처님은 2,600여 년 전에 이미 여성 출가자를 받아들여 비구니 교단을 세울 수 있게 하셨던 분이다.

그러나 세상에서 흔히 ‘불교국가’라고 하고, 주민의 대다수가 부처님 제자를 자처하는 동남아시아의 상좌부 불교국가에서 비구니 교단을 부정하는 것은 역설적이다. 외신을 통해 전해진 바로는, 미얀마나 태국 등에서는 자국에서의 수계가 불가능하여 외국에 나가 계를 받고 비구니가 되어 귀국해 포교 활동을 할 경우 심지어 투옥되는 경우까지 있다고 한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이런 나라들을 일컬어 과연 부처님 가르침을 따르는 제자들이 열심히 수행하는 ‘불교 국가’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

그러나 한국 비구니계는 세계에서 특별한 위치에 있다. 대만을 제외하고, 세계 어느 불교계에서도 우리 비구니스님들처럼 적극적 활동을 펼치는 곳은 없을 것이다. 교단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도 세계 불교계에서 독보적일 뿐만 아니라 모든 종교계를 통틀어 으뜸이 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물론 현실적으로는 아직도 승단 내에서 비구스님과 단순 비교하면 불평등한 요소들이 많이 남아 있어, ‘남녀평등’이라는 지극히 당연한 시대 흐름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교육과 복지 · 문화 부분에서 우리 비구니스님들이 쌓아온 경력과 경험은 여간 크지 않다. 따라서 종단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힘들게 막고 있는 법과 제도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비구니 스님들의 역할과 중요성은 점차로 커져가고 있고 이제는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큰 흐름이 되었다.

우리 비구니계가 국내에서 축적한 경험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제는 아직까지 비구니 계단의 복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남방 상좌부 불교권 국가에 “비구니 계단 복원을 지원하겠다”며 공식 제안을 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하지만 지난해 태국에서 열렸던 국제회의에서 제출된 한국 비구니계의 위와 같은 제안은 그리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던 것으로 듣고 있다. 아마도 의욕만 앞서서 현실 파악에 소홀하고 세부적인 실천 계획에 있어서도 치밀하지 못했던 것이 아닌가 싶다. 특히 ‘소승’이라는 용어 자체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태국에서 ‘소승 불교’ 운운하였으니, 그렇지 않아도 ‘비구니 교단 복원’ 자체를 완강하게 거부하고 있는 그곳 불교 교단을 긴장시키고 그들의 ‘보수성’을 더욱 강화시켜주는 모양새가 되었다.

물론 우리 비구니계가 앞장서서 다른 나라에도 비구니 교단을 복원하겠다는 서원은 참으로 소중하고, 언제인가 그것이 현실화되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 비구니 스님들이 큰 역할을 하게 되기를 바란다. 하지만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다. ‘꿈과 서원’을 현실화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넓은 안목을 갖고 중장기 계획을 세워서 차례대로 실천에 옮겨야 한다.

나뿐만 아니라 많은 불자들이 우리 비구니계에 거는 기대가 클 것이다. 조계종을 예로 들면, “25개 교구 본사 중 최소한 몇 개 본사는 비구니스님들이 관리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을 것이다. “비구니 팔경계법을 비롯한 불평등한 제도와 법령을 개정하여야 한다”는 데에도 대체로 동의할 것이다.

그러나 이 세상 모든 일이 그렇듯이, 제도 개선에 앞서서 비구니 스님들의 역할이 커지고 이 역할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이해와 공감대가 커지는 것이 선결 과제이다. 우리가 비구니 스님들에 대한 기대가 큰 만큼 주문도 함께 갖게 되는 이유가 그 때문이다.

이 기회에 한국 비구니계에 거는 기대와 함께 주문을 드려본다.

첫째, 비구스님과의 평등을 이룩하려면 일반 대중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역시 비구니 스님들은 신뢰할 수 있다”는 믿음이 널리 퍼지게 되면, 제도적인 보완과 개선은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각기 역할을 분담하여 펼치고 있는 가톨릭 수녀회들의 활동에 주목하라고 주문하고 싶다.

어떤 수녀회는 교육 분야에 전념하여 대학과 중고등학교를 세우고 운영하는 일에 매진하고, 또 다른 수녀회는 병원이나 복지 시설의 설립과 운영에 앞장선다. ‘사제와의 평등’이라는 말을 꺼내기조차 힘들고, 심지어 강론의 기회를 갖기도 힘든 수녀들이지만 각자가 속한 수녀회의 소임에 충실하게 되니 사회 대중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신뢰를 얻게 된다. 테레사 수녀에게서 그 모범 사례를 볼 수 있고 한국 수녀들에 대한 일반 사회의 신뢰도가 매우 높다는 조사 결과도 있었다.

가톨릭의 다양한 수녀회처럼 우리 비구니 스님들도, 비구스님들이 놓치고 있는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하여 불교 학교를 세우고 복지 시설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범을 보여주길 기대하고 주문한다.

둘째, 일반 대중들은 스님들이 대형 승용차를 타거나 골프를 치고, 외유성 해외여행을 자주 가는 등의 막행막식에 대해 부정적이다. 세상이 급변한다고 하지만, 그래도 수행자에게 거는 우리들의 기대는 예전과 그리 다르지 않다. 그런데 ‘평등’을 내세우면서 오히려 그리 아름답지 못한 모습으로 비쳐지고 있는 비구 스님들의 행태를 따르는 것으로 비쳐지면, 신도 대중이나 일반 사회의 여론으로부터 외면당하게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지극히 일부이지만, 비구니 스님들 중에서도 고급 승용차를 타거나 호화로운 ‘토굴’ 생활을 하고 있다는 소문은 전체 비구니계에 대한 실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셋째, 재가 신도들에 대한 배려와 하심이 필요하다. 과거 육군 제3사관학교나 ROTC 출신 장교들이 “육사 출신 장교들에 비해 차별을 받고 있다”며 반발을 하면서도, 준사관이나 사병들에 대해 가학적인 경우가 많았고, 그래서 오히려 사병들이 “역시 육사 출신이 달라. 그들이 좀 더 나은 대우를 받는 것이 당연하다”고 하였던 적이 있다.

혹시라도 비구스님들에서 받는 어려움을 신도들에게 돌리는 경우가 있으면 안 된다. 일부 재가자들 사이에서는 “비구니 스님들과 일을 하면 너무 힘들다”면서 함께 일을 하는 것 자체를 꺼린다는 사실도 알아야 한다. 수행자의 의연하고 당당한 자리를 지키는 것은 좋지만, “까다롭다”는 평을 듣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재가자들에게 함부로 대하고, 지나친 ‘아상’을 보여주게 되면 오히려 재가자들 사이에서 “비구니 팔경계는 존속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당 태종의 정치 철학이 담긴 《정관정요》에 “물은 배를 순항하게도 하지만, 배를 뒤집을 수도 있다”는 뜻의 말이 있는데, 현대 중국의 마오쩌뚱(毛澤東)도 이 말을 즐겨 썼다고 한다.

이 말을 바꾸어서, 우리 비구니스님들에게 이런 말씀을 드리면 불경이 될까?

“신도 대중들이 비구니 스님들을 존경하고 사회여론을 좋게 만들 수도 있지만, 잘못하면 그 위상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나는 우리 비구니 스님들에 거는 기대가 매우 크고 그래서 주문사항도 많다는 사실을 밝혀둔다
저작권자 © 불교평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